페이지

posts list

2014년 7월 31일 목요일

하늘도 감동한 이윤(伊尹)의 성품

하늘도 감동한 이윤(伊尹)의 성품글 연구위원 김성호공사 3장 39절을 보면 상제님께서 쓰신 글귀 중에 이윤(伊尹)과 관련된 내용이 나온다. 그 내용은 ‘걸이 망하고 탕이 흥함은 이윤에게 있다(桀之亡湯之興在伊尹)’라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상제님께서는 그가 성탕을 도와 대업(大業)을 이루었나니 이제 그 일을 도수로 굳게 짜 놓았다고 말씀하시고, 이 도수가 제 한도에 돌아 닿는 대로 새 기틀이 열린다고 말씀하셨다.과연 상제님께서는 어떠한 연유로 그에 의해서 좌우된 두 임금의 흥망성쇠를 언급하시고, 나아가 이윤이 성탕을 도와 대업을 이룬 일을 후천의 새 기틀을 여는 개벽공사에 까지 쓰셨을까?걸왕의 폭정과 이윤의 간언그는 원래 은(殷)의 주왕과 더불어 중국 역사상 포악무도한 폭군으로 손꼽히는 걸왕 밑에서 선관(膳官)으로 있었던 인물이었다. 그가 걸왕의 신하였을 당시는 걸왕(桀王)이 주변의 모든 제후국을 통치하고 있었다. 하지만 걸왕은, 정사(政事)는 뒷전인 채 궁전을 사치스럽게 치장하고 주색에 빠져 악행만을 일삼았다. 그의 무도함은 도의(道義)에 어긋남을 넘어 죄 없는 백성들까지 무참히 살육하고, 제후국을 침략하여 법도를 짓밟는 등 임금으로서 해서는 안 될 행동까지...

이윤의 생애

이윤(伊尹)「이윤(伊尹)이 오십이지사십구년지비(五十而知四十九年之非)를 깨닫고 성탕(成湯)을도와 대업을 이루었나니 제 도수(度數)에 돌아닿는 대로 새 기틀이 열리리라.」탕임금은 이윤의 덕으로 왕도정치(王道政治)「천도교탕어선(天道敎湯於善) 탕지흥재이윤(湯之興在伊尹)」중국 역사에 있어서 태평시대라고 하면 생각나는 것이 요순시대이다. 그 뒤 우(禹)가 왕위를 물려받아 이끌어 가다가 우의 아들 계(啓)에 이르러 세습 왕조 체제로 바뀌어 하왕조(夏王朝)가 이어진다.하왕조 17대에 와서 걸왕(桀王)은 매희(妹喜)라는 절세 미녀에 빠져 폭정을 폈기 때문에 은(殷)의 탕왕(湯王)에게 멸망하였다. 이윤은 걸을 망하게 하고 탕을 도와 왕도정치를 펴서 은나라를 부흥시킨 훌륭한 재상(宰相)이다. 그럼 후세에 명재상으로 이름을 남긴 이윤은 어떤 인물인가?이윤의 본명은 지(摯) 혹은 아형(阿衡)이다. 이윤은 본래 유신씨(有辛氏)의 들에서 농사를 지으며 자기의 재능을 숨기고 산야에 묻혀 살았다. 탕이 그의 현명함을 알고 사람을 보내어 맞아들이려 하였으나 쉽게 응하지 않았다. 탕은 세 번이나 사신을 보내어 예를 갖추어 청한 후에야 비로소 부름에 응하였다. (史記, 書經)「여씨춘추(呂氏春秋)」나「열자(列子)」에는...

서경 - 정치의 재정의와 탕평의 이론적 근거 (신정근), 홍범구주 해석

『서경』, 정치의 재정의와 탕평의 이론적 근거http://webzine.idaesoon.or.kr/board/index.asp?webzine=179&menu_no=2942&bno=5230&page=1글 신정근『주례』, 『서경』, 『춘추』, 『논어』, 『중용』 등은 다들 알다시피 동양고전에 속하는 문헌이다. 이들 동양고전은 전근대에서 다른 문헌보다도 특권의 지위를 누렸다. 글을 쓰거나 말을 할 때 자신의 말이 이 문헌에서 나왔다고 하면 더 이상 의심을 하지 않을 정도로 절대적인 지위를 누렸다. 전근대에 학자•관료를 꿈꾸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경전을 배워야 했다. 그래야만 학자•관료 노릇을 할 수 있었다. 누가 “『논어』에 따르면” 하면서 무어라고 하는데, 알아듣지 못한다면 대화를 이어갈 수 없기 때문이다.역사적으로 보면 동양고전도 시대마다 다른 대접을 받았다. 어떤 시대에는 한 문헌이 다른 것보다 각광을 받았다면 다른 시대에는 또 다른 문헌이 다른 것보다 화려한 주목을 받기도 했다.01 한(漢) 제국 초기에는 『춘추』가 주목을 받았다. 한 이전의 고대, 즉 삼대(三代)에는 최고 정치지도자가 성왕(聖王)이었기 때문에 현실의 다양한 사건을 처리하는...

홍산문화 - 요하문명

홍산문화 - 요하문명[편집]홍산문화는 1908년 일본의 인류학자 도리이 류조(鳥居龍藏)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으며 연대는 기원전 4700년 ~ 기원전 2900년 경으로 지금까지 츠펑(赤峰, 발견 당시엔 열하성), 링위안(凌源), 젠핑(建平), 차오양(朝陽) 등 500여곳의 유적을 찾아냈다. 발견 지역은 옌산 산맥의 북쪽 랴오허 지류의 서 랴오허 상류 부근에 널리 퍼져 있다. 중국에 의해 1980년대부터 본격적인 발굴이 이루어지면서 싱룽와 문화(중국어 간체: 兴隆洼文化, 정체: 흥륭와문화(興隆窪文化), 병음: xīnglóngwā wénhuà Xinglongwa culture[*]), 훙산 문화(중국어 간체: 红山文化, 정체: 紅山文化, 병음: hóngshān wénhuà), 자오바오거우 문화(중국어 정체: 趙寶溝文化, 병음: Zhàobǎogōu wénhuà), 신러 문화(중국어 간체: 新乐遗址, 정체: 新樂遺跡, 병음: Xīnlè...

중국의 신석기 문화

중국의 신석기 문화 목록시기한국어 명칭한자 명칭현재 위치기원전 7500년 ~ 기원전 6100년펑터우산 문화彭頭山文化후난성 동서부의 양쯔강 중류기원전 7000년 ~ 기원전 5000년페이리강 문화裴李崗文化허난성 뤄허(洛河) 부근 계곡기원전 6500년 ~ 기원전 5500년허우리 문화后李文化산둥지방기원전 6200년 ~ 기원전 5400년싱룽와 문화興隆洼文化내몽고 접경 지역기원전 6000년 ~ 기원전 5500년츠산 문화磁山文化허베이성 남부기원전 5800년 ~ 기원전 5400년라오관타이 문화(다디완 문화)老官台文化, 大地灣文化감숙성과 섬서성 서부기원전 5500년 ~ 기원전 4800년신러 문화新樂文化랴오둥 반도의 랴오허 하류기원전 5400년 ~ 기원전 4500년자오바오거우 문화趙宝溝文化내몽고의 난하 계곡과 허베이 성 북부기원전 5300년 ~ 기원전 4100년베이신 문화北辛文化산둥 성기원전 5000년 ~ 기원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