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afe.daum.net/kmcacademy
8 | 서경 / 우서 / 요전 / 제4장(第四章) | 동곡 | 09.09.18 | 48 | 0 | |
7 | 서경 / 우서 / 요전 / 제3장(第三章) | 동곡 | 09.09.18 | 48 | 0 | |
6 | 서경 / 우서 / 요전 / 제2장(第二章) | 동곡 | 09.09.18 | 55 | 0 | |
5 | 서경 / 우서 / 요전 / 제1장(第一章) | 동곡 | 09.09.14 | 82 | 0 | |
4 | 서경 / 우서 / 요전(堯典) | 동곡 | 09.09.14 | 92 | 0 | |
3 | 서경 / 우서(虞書) | 동곡 | 09.09.14 | 85 | 0 | |
2 | 서경집전서(書經集傳序) | 동곡 | 09.09.14 | 182 | 0 | |
1 | 현토완역 서경집전(書經集傳) | 동곡 |
서경 / 우서 / 대우모(大禹謨)
서경 / 상서 / 반경 상(盤庚上) 세 편(篇)은 금문(今文)과 고문(古文)에 다 있는데 다만 금문(今文)은 세 편(篇)이 합하여 하나가 되었다.
≪금문상서≫는 진 박사(秦博士)였던 복승(伏勝, 伏生)이 은밀히 ≪서경≫을 벽 속에 감추고, 난을 피해 사방으로 흘러다니다가 평화를 되찾은 뒤 돌아와서 벽을 열어 보니 겨우 28편(혹은 29편)을 얻을 수 있었다. 이를 당시 통용되는 문자인 금문(今文)으로 기록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복승이 벽 속에 감춘 것이 아니라 스스로 외어 두고 있다가 구전(口傳)한 것이며, 다시 문자로 옮기는 과정에서 당시 쓰던 문자인 금문으로 정착을 시켰다는 설도 있다. 이 28편(29편)의 글이 ≪금문상서≫이다.
후한 무제(武帝) 때 노(魯)의 공왕(恭王)이 집을 넓히려고 공자의 구택(舊宅)을 부수었는데 벽 속에서 많은 고서가 나왔다. 이 고서들을 공자의 후손인 공안국(孔安國)이 정리하면서 그 중의 ≪서경≫을 이미 알려져 있는 ≪금문상서≫와 비교해 16편을 더 찾아냈는데, 이를 ≪고문상서≫라 한다.
그 뒤 성제(成帝) 때 장패(張覇)라는 사람이 다시 고문 102편을 얻어 임금에게 바쳤는데, 이것은 위서(僞書)라는 판정을 받았다. 그래서 ≪위고문상서≫라고 한다. 그 뒤 동진(東晉) 원제(元帝) 때 매색(梅?)이라는 사람이 ≪고문상서≫를 헌상하였는데, 공안국의 전(傳 : 注解)까지 곁들여 모두 58편이나 되었다. 그 내용은 ≪금문상서≫와 일치하는 33편과, 달리 불어난 고문계(古文系) 25편으로 되어 있었다.
이 매색의 헌상본은 위고문(僞古文)이라는 설이 분분하였고, 공안국전은 위공전(僞孔傳)이라 하여 위서로 낙인이 찍히기도 하였다. 그러나 당나라에 이르러 공영달(孔穎達)이 ≪상서정의 尙書正義≫를 편정할 때 이것을 정본으로 삼았기 때문에 널리 세상에 통용되었다. 우리 나라에서 읽혀지고 있는 ≪서경집주 書經集註≫도 여기에 근거한 것이다.
============================================================================================
서경(書經) 번역 주석 수정본 서문 = 5
일러두기 = 9
해제 : 서경인란 어떤 책인가? = 15
1. 서경(書經)의 시대배경(時代背景) = 15
2. 서경의 내용 = 18
3. 서경의 가치 = 19
4. 서경이란 이름의 뜻 = 22
5. 서경의 편자 = 23
6. 서서(書序)에 대하여 = 24
7. 금문상서(今文尙書) = 26
8. 고문상서(古文尙書) = 29
9. 위고문상서(僞古文尙書) = 31
10. 역대의 서경 주석(注釋) = 33
11. 서경이 우리 문화에 끼친 영향 = 36
12. 왜 서경을 읽어야 하나? = 37
제1편 우서(虞書) = 39
1. 요전(堯典) = 39
2. 순전(舜典) = 51
3. 대우모(大禹謨) = 72
4. 고요모(皐陶謨) = 89
5. 익직(益稷) = 99
제2편 하서(夏書) = 114
1. 우공(禹貢) = 114
2. 감서(甘誓) = 143
3. 오자지가(五子之歌) = 147
4. 윤정(胤征) = 152
제3편 상서(商書) = 159
1. 탕서(湯誓) = 160
2. 중훼지고(仲훼之誥) = 163
3. 탕고(湯誥) = 170
4. 이훈(伊訓) = 175
5. 태갑 상(太甲 上) = 182
6. 태갑 중(太甲 中) = 187
7. 태갑 하(太甲 下) = 190
8. 함유일덕(咸有一德) = 194
9. 반경 상(盤庚 上) = 200
10. 반경 중(盤庚 中) = 212
11. 반경 하(盤庚 下) = 220
12. 열명 상(說命 上) = 225
13. 열명 중(說命 中) = 230
14. 열명 하(說命 下) = 235
15. 고종융일(高宗융日) = 241
16. 서백감려(西伯戡黎) = 244
17. 미자(微子) = 247
제4편 주서(周書) = 253
1. 태서 상(泰誓 上) = 254
2. 태서 중(泰誓 中) = 260
3. 태서 하(泰誓 下) = 265
4. 목서(牧誓) = 269
5. 무성(武成) = 273
6. 홍범(洪範) = 280
7. 여오(旅獒) = 300
8. 금등(金등) = 304
9. 대고(大誥) = 313
10. 미자지명(微子之命) = 324
11. 강고(康誥) = 327
12. 주고(酒誥) = 341
13. 자재(자材) = 351
14. 소고(召誥) = 356
15. 낙고(洛誥) = 367
16. 다사(多士) = 381
17. 무일(無逸) = 391
18. 군석(君奭) = 400
19. 채중지명(蔡仲之命) = 411
20. 다방(多方) = 416
21. 입정(立政) = 428
22. 주관(周官) = 438
23. 군진(君陳) = 447
24. 고명(顧命) = 454
25. 강왕지고(康王之誥) = 469
26. 필명(畢命) = 473
27. 군아(君牙) = 480
28. 경명(경命) = 484
29. 여형(呂刑) = 488
30. 문후지명(文侯之命) = 505
31. 비서(費誓) = 509
32. 진서(秦誓) = 514
서경(書經) 연표(年表) = 519
색인(索引) = 528
일러두기 = 9
해제 : 서경인란 어떤 책인가? = 15
1. 서경(書經)의 시대배경(時代背景) = 15
2. 서경의 내용 = 18
3. 서경의 가치 = 19
4. 서경이란 이름의 뜻 = 22
5. 서경의 편자 = 23
6. 서서(書序)에 대하여 = 24
7. 금문상서(今文尙書) = 26
8. 고문상서(古文尙書) = 29
9. 위고문상서(僞古文尙書) = 31
10. 역대의 서경 주석(注釋) = 33
11. 서경이 우리 문화에 끼친 영향 = 36
12. 왜 서경을 읽어야 하나? = 37
제1편 우서(虞書) = 39
1. 요전(堯典) = 39
2. 순전(舜典) = 51
3. 대우모(大禹謨) = 72
4. 고요모(皐陶謨) = 89
5. 익직(益稷) = 99
제2편 하서(夏書) = 114
1. 우공(禹貢) = 114
2. 감서(甘誓) = 143
3. 오자지가(五子之歌) = 147
4. 윤정(胤征) = 152
제3편 상서(商書) = 159
1. 탕서(湯誓) = 160
2. 중훼지고(仲훼之誥) = 163
3. 탕고(湯誥) = 170
4. 이훈(伊訓) = 175
5. 태갑 상(太甲 上) = 182
6. 태갑 중(太甲 中) = 187
7. 태갑 하(太甲 下) = 190
8. 함유일덕(咸有一德) = 194
9. 반경 상(盤庚 上) = 200
10. 반경 중(盤庚 中) = 212
11. 반경 하(盤庚 下) = 220
12. 열명 상(說命 上) = 225
13. 열명 중(說命 中) = 230
14. 열명 하(說命 下) = 235
15. 고종융일(高宗융日) = 241
16. 서백감려(西伯戡黎) = 244
17. 미자(微子) = 247
제4편 주서(周書) = 253
1. 태서 상(泰誓 上) = 254
2. 태서 중(泰誓 中) = 260
3. 태서 하(泰誓 下) = 265
4. 목서(牧誓) = 269
5. 무성(武成) = 273
6. 홍범(洪範) = 280
7. 여오(旅獒) = 300
8. 금등(金등) = 304
9. 대고(大誥) = 313
10. 미자지명(微子之命) = 324
11. 강고(康誥) = 327
12. 주고(酒誥) = 341
13. 자재(자材) = 351
14. 소고(召誥) = 356
15. 낙고(洛誥) = 367
16. 다사(多士) = 381
17. 무일(無逸) = 391
18. 군석(君奭) = 400
19. 채중지명(蔡仲之命) = 411
20. 다방(多方) = 416
21. 입정(立政) = 428
22. 주관(周官) = 438
23. 군진(君陳) = 447
24. 고명(顧命) = 454
25. 강왕지고(康王之誥) = 469
26. 필명(畢命) = 473
27. 군아(君牙) = 480
28. 경명(경命) = 484
29. 여형(呂刑) = 488
30. 문후지명(文侯之命) = 505
31. 비서(費誓) = 509
32. 진서(秦誓) = 514
서경(書經) 연표(年表) = 519
색인(索引) = 528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