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찰자 구별하기: Maturana에 대한 해석 하나
Ernst von Glasersfeld
English
타자 없이 내 있을 리 없고, 내 없이 구별이 있을 리 없지.
장자, 4th Cent., B.C.(*)
"언어하기(languaging)"는, Maturana가 이따금씩 설명한 대로, 여타 것들 사이에서 방향잡기를 합니다. 그가 이 단어로 의미한 것은, 주의 돌리기이며, 그 결과로서, 타자들에 대한 개체 경험입니다; 이는 언어발달을 위한 필수 전제 조건으로서 "합의 영역들(consensual domains)"의 발달을 조장하는 한 방식입니다. 내가 이곳에서 시작한 ("언어하기") 문장은 기껏해야 Maturana 스타일의 핏기 없는 모방에 불과할지라도, 그것은 필시 Maturana 시스템의 중요한 한 측면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그 측면이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방식으로 반복해서 속출하는 순환성입니다.
내 해석으로, Maturana의 해설들 가운데 순환성에 주목할 때마다 절대 필요불가결한 것은, 이러한 순환성이, 우리 서양 철학의 가장 전통적 체계에서 말하는, 일종의 헛발 짚기 또는 실수가 아니란 점을 자신한테...
posts list
2014년 10월 22일 수요일
2014년 10월 10일 금요일
덕치, 인치, 법치 노자, 공자, 한비자의 정치 사상
덕치, 인치, 법치 노자, 공자, 한비자의 정치 사상 ▶ 철학의 부재시대에서 바라 본 우리몸에 맞는 정치철학찾기
저자/역자신동준 저
발간일2003년 8월 14일
가격20,000 원 →회원할인가 18,000 원
분류연구총서 | 도가/제자철학
포인트900점
철학이 없어진 현재, 우리 몸에 맞는 정치철학은 없는 것일까? 이러한 물음에 답하면서 동양의 철학을 정치철학으로 해석하고 있다. 우리의 사상 속에서 발견한 우리 몸에 맞는 정치철학이 깊게 담겨 있는 책이다. 판형:신국판 | 쪽수:488쪽
1.첫머리
2.들어가는 말
3.3가의 기본 경서
4.3가의 탄생과 사상적 특징
5.우주와 인간과 가치에 대한 관점
6.3가의 통치 사상 1: 치도관
7.3가의 통치 사상 2: 치본관
8.3가의 통치 사상...
춘추전국 묵가/병가/법가사상과 PR철학
춘추전국 묵가/병가/법가사상과 PR철학박기철 경성대 광고홍보학과 교수 논문
관리자 | admin@the-pr.co.kr
승인 2010.11.23 21:01:54
약 2,500여년 전 중국은 춘추 시대다. 춘추시대 이후 진나라의 중국 통일 이전까지 전국시대가 이어진다. 과도기적 춘추전국이라는 역사에서 제자백가라 일컬어지는 사상들이 생겨나게 됐다. 이러한 여러 가지 사상들 중 공중관계 활동인 PR과 가장 관련이 깊은 사상은 원시유교사상과 원시도교사상이다. 그 당시 인도에서 생긴 원시불교사상도 PR철학과 관련이 깊다. 아울러 춘추전국시대 묵가, 병가, 법가 사상도 PR에 중요한 시사점을 준다. 지난달 19일 한국PR학회가 주최한 추계 정기학술대회에서 박기철 경성대 광고홍보학과 교수가 발표한 ‘춘추전국시대 묵가·병가·법가 사상과 PR철학’이 그같은 내용을 담아 눈길을 끌었다....
대여대취- 크게 주고 크게 얻어라, 신동준
대여대취 크게 주고 크게 얻어라
신동준 지음 | 21세기북스 | 2012년 07월 20일 출간
책소개
손자를 벼린 조조의 성공 지략으로 나만의 ‘대물’을 꿈꿔라!
크게 주고 크게 얻어라『대여대취』. 고전을 통해 세상을 보는 눈과 사람의 길을 찾는 고전 연구가이자 역사문화 평론가인 저자 신동준이 조조의《손자약해》를 바탕으로 대여대취 정신을 ‘지금 당장’의 현리 가치로 쉽게 풀어냈다. 저자는 삼국시대 당시 천하통일 기반을 닦은 조조는 도가와 법가 사상에 입각해《손자병법》을 새롭게 편제하고 주석을 가했던 바, 《손자병법》은 반드시 조조 시각에서 접근해야 그 취지를 제대로 파악할 수 있다고 이야기한다. 조조의 지혜가 담긴《손자병법》으로, 임기응변으로 주도권을 쥐는 방법부터 적과 나의 실력을 알고 싸우는 법, 지략이 뛰어난 자를 활용하는 법 등 ‘크게 주고 크게 얻는’ 비결들을 알려준다.
북소믈리에 한마디!
이 책은 제왕을...
2014년 10월 8일 수요일
도올과 베버의 대화
도올과 베버의 대화
http://www.yesu.kimc.net/33dolbe.htm
▣ 목차
1. 머리말
2. 도올과 베버의 프로필
3. 베버의 사회과학적 방법론
4. 금욕주의의 신앙적근원
5. 근대 자본주의의 특징
6. 도올의 베버 비판
7. 맺 음 말
● 부 록 1 [도올 논어(2)]
◇ 요절 : ① 성경: "네가 자기 사업(직업 또는 사명)에 근실한 사람을 보았느냐
이러한 사람은 왕 앞에 설 것이요 천한 자 앞에 서지 아니하리라."(잠22:29)
② 論語: "자왈 '군자불기'(子曰 '君子不器')"
▣ 본문
1. 머리말
KBS...
피드 구독하기:
글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