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posts list

2014년 8월 28일 목요일

고요(皐陶) 구덕(九德)론 - 지도자 덕목

사기를 공부하면서 많은 것들 생각하게 된다. 그중에서 정치 사상 측면에서 이 경전을 통해 과거 통치자들이 얼마나 많은 깨달음과 현실을 보는 눈들을 얻을 수 있게 되었는지 조금은 갸름해볼 수 있게 된다. 

몇줄의 한문 문장들을 통해 현실의 고뇌들, 마음 속을 휘몰아치는 권력의 아수라 속에서 마음을 다잡고 바른 길을 궁구하려 흔들이는 초롱불 밑에서 흔들려 댔을까? 경전이 현실을 반추하는 지렛대가 되고 거울로서 그 속에서 자신을 발견하면서 후회하고 또 자신의 깨달음의 창구가 되도록 수천번을 뒤적거리며 욕망과 인내의 시간들을 거쳤을까?
[ 고요(皐陶)  지인(知人)안민(安民)론 ]

정조와 다산은 조선 후기 서경의 재발견을 통해 정치의 근본을 세우고자 했다. 서경 고요모에서 임금 순과 우, 재상 고요의 대화는 정치를 보는 첫 장을 연다. (정약용은 "대학공의"에서 성인들의 통치철학을 서셩 고요모에서 시작해서 대학으로 끝난다고 설파한다)

고요는 “리더가 진심으로 도덕에 따라 일에 임하면 계획한 일이 분명해질 뿐만 아니라 보필하는 사람들은 화합할 것”이라고 말한다.
순이 그 방법을 묻자 고요는 “가까운 곳은 물론 먼 곳까지 잘 다스릴 수 있느냐 여부는 모두 리더 자신에게 달려 있고, 천하를 다스린다는 것은 사람을 알고
(知人), 백성을 편하게 하는(安民) 데 있습니다.”라고 말했다.
여기서 ‘지인(知人)’과 ‘안민(安民)’는 사람을 제대로 기용해야 백성을 편하게 할 수 있다는 말이다.

이를 "대학"에서는 정치의 근본으로서 “나라를 통치하는 사람에게 큰 정치는 두 가지이니, 하나는 용인(用人)이요, 둘은 이재(理財)이다”라고 하고, 그 근원을 '고요모'의 지인(知人)과 안민(安民)에 연결된다.( 정약용의 대학공의).


이어 우는 그것이 어려움을 성군이었던 요 임금도 이르기 어려운 경지라고 말하며 고요의 발언을 우회적으로 비판했다.

그러자 고요는 리더가 갖춰야 할 자질로 다음의 ‘구덕(九德)’론을 제시한다.


[ 고요(皐陶) 구덕(九德)론 ]

寬而栗 관이율 - 너그러우면서도 무섭고
柔而立 유이립 - 부드러우면서도 주체가 확립되어 있으며
愿而恭 원이공 - 고집스러우면서도 공손하고
亂而敬 난이경 - 혼란스러우면서도 경건하며
擾而毅 요이의 - 어지러우면서도 굳세고
直而溫 직이온 - 곧으면서도 온화하며
簡而廉 간이렴 - 간단명료하면서도 자세하고
剛而塞 강이색 - 굳세면서도 치밀하며
疆而義 강이의 - 강하면서도 도리에 맞아야 하니
彰厥有常 吉哉 창궐유상 길재 - 일상적인 삶에 이를 드러낸다면 모든것이 길할 것입니다.
1. 관이율(寬而栗): 너그러우면서 엄격함
2. 유이립(柔而立): 부드러우면서 주관이 뚜렷함
3. 원이공(原而恭): 사람과 잘 지내면서 장중함
4. 치이경(治而敬): 나라를 다스릴 재능이 있으면서 신중함
5. 요이의(擾而毅): 순종하면서 내면은 견고함(확고함)
6. 직이온(直而溫): 정직하면서 온화함
7. 간이염(簡而廉),: 간결하면서 구차하지 않음(자질구레한 일에 매이지 않음)
8. 강이실(剛而實): 굳세면서 착실함
9. 강이의(彊而義): 강하면서 도의를 지킴

- 김영수, 사기의 리더쉽

관이율(寬而栗)은 매우 너그러우면서도 만만하게 보이지 않는 것을 말합니다.
유이립(柔而立)은 부드러우면서도 자신의 주관이 확립된 것을 말하고,
원이공(愿而恭)은 신중하면서도 공손한것을 말하고,
란이경(亂而敬)은 잘 다스리면서도 백성들을 공경하는 것을 말합니다.
요이의(擾而毅)는 스스로를 잘 적응하면서도 과감하게 실행함을 말합니다.
직이온(直而溫)은 강직하면서도 따뜻해야 하며,
간이렴(簡而廉)은 소탈하면서도 지키는 데에 정도(正道)가 있는 것을 말합니다.
강이새(剛而塞)는 굳세면서도 상대와 돈독해야 하고,
강이의(彊而義)는 체력이 강하면서도 의리가 있는 것을 말합니다.
- 김경수, 중앙대 명예교수








다산은 『대학공의(大學公議)』라는 책에서 『서경』의 「고요모(皐陶謨)」편은 『대학』이라는 책의 연원(淵源)이어서 수많은 성인(聖人)들이 서로 전해준 통치철학의 근본 취지가 「고요모」에서 시작하여 『대학』이라는 책에서 결론이 맺어진다고 설파했습니다.

===================================================================

구덕(九德)




김경수 중앙대 명예교수






구덕(九德)은 아홉 가지의 덕스러움을 말합니다. 서경(書經) 권2의 고요모(皐陶謨)에 나오는 말입니다. 고요(皐陶)는 순(舜)임금을 말합니다. 군자(君子)에게는 아홉 가지 덕목이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다음 임금을 두고 한 말입니다. 이미 3000년 전에 이런 덕목을 논했으니 선각자들의 정신 세계가 대단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오늘날 우리들의 지도자가 되려는 사람들도 이 아홉 가지의 내면적인 덕을 지녔으면 하는 바람이 듭니다. 그래야 어려운 현실 문제도 잘 해결하고, 뛰어난 리더십도 발휘할 수 있을 듯해서 하는 말입니다. 아홉 가지 모두가 나의 밖에 있는 것이 아니라 내 안에서 길러야 할 항목입니다.

관이율(寬而栗), 유이립(柔而立), 원이공(愿而恭), 란이경(亂而敬), 요이의(擾而毅), 직이온(直而溫), 간이렴(簡而廉), 강이새(剛而塞), 강이의(彊而義)가 바로 그것입니다.

다소 말이 어렵습니다. 관이율(寬而栗)은 매우 너그러우면서도 만만하게 보이지 않는 것을 말합니다. 유이립(柔而立)은 부드러우면서도 자신의 주관이 확립된 것을 말하고, 원이공(愿而恭)은 신중하면서도 공손한것을 말하고, 란이경(亂而敬)은 잘 다스리면서도 백성들을 공경하는 것을 말합니다. 여기에 쓰인 란(亂)은 다스리다(治)의 뜻입니다. 요이의(擾而毅)는 스스로를 잘 적응하면서도 과감하게 실행함을 말합니다. 의(毅)는 굳세다의 뜻으로 정신력이 강한 것을 의미합니다. 직이온(直而溫)은 강직하면서도 따뜻해야 하며, 간이렴(簡而廉)은 소탈하면서도 지키는 데에 정도(正道)가 있는 것을 말합니다. 강이새(剛而塞)는 굳세면서도 상대와 돈독해야 하고, 강이의(彊而義)는 체력이 강하면서도 의리가 있는 것을 말합니다. 구덕(九德)은 누구나 마음에 담아 둘 만한 교훈입니다. 특히 지도자의 덕목입니다.

http://www.lawtimes.co.kr/LawSeries/SeriesNews/SeriesNewsContents.aspx?key=%C7%D1%C0%DA%C0%CC%BE%DF%B1%E2&serial=64006&page=1&m=se08&bn=bn46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