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posts list

2014년 8월 31일 일요일

中道(중도) - 3천여년 전 주나라 문왕 임종 유훈에 '中' 언급

[박대종의 어원 이야기] 中道(중도) 3천여년 전 주나라 문왕 임종 유훈에 '中' 언급 대종언어연구소장 (www.hanja.co.kr) 입력시간 : 2012/06/01 16:59:06수정시간 : 2014.08.31 13:59:18 며칠 전 주요 대권주자들에 대한 정몽준 의원의 JTBC에서의 촌철살인 인물평이 화제다. 그는 '좌중우(左中右)'로 3분되는 이념지수를 묻는 질문에서 이명박 대통령과 박근혜 의원, 안철수 교수를 中의 위치에 놓았다.대통령이 강조하는 중도(中道)는 그 연원이 무척 오래되었다. 중도는 늘이면 중용지도(中庸之道)이며, 중용은 사서삼경의 하나이자 석가모니의 핵심 가르침이다. 그러나 중도에 초점을 둔 역사는 석가모니보다 더 오래되었다.2008년 중국에서는 <서경(書經)> 원본이 적힌 전국시기(戰國時期) 죽간이 극적으로 발견되었다. 청화대학 소장이라 '청화간(淸華簡)'으로 불리는 그 죽간에서는 <서경>의 새로운 내용들이 발견되었는데, 3천여 년 전 주나라 문왕이 임종 시에 남긴 유훈 기록인 '보훈(保訓)' 편에 '中'이 보인다. 문왕은 스스로 얼굴을 씻은 후 태자(후일의 무왕)를 불러...

2014년 8월 30일 토요일

고사변 자서, 고힐강 지음 | 김병준 옮김

고사변 자서  한국학술진흥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동양편 072 | 양장본 고힐강 지음 | 김병준 옮김 | 소명출판 | 2006년 06월 30일 출간 의고학파의 거두 고힐강의 자전적 서문 <고사변> 자서를 번역한 책. <고사변> 자서는 1926년 고힐강이 <고사변> 제1책을 출간하면서 붙인 자서를 말한다. <고사변>의 자서는 20세기 중국 역사학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의고학파를 이해하는 데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며, 한 젊은 역사학자가 20세기 초반 전통적 권위에 도전하며 새롭고 올바른 것을 추구하려 했던 삶의 궤적을 보여준다. 또한 나아가 역사학의 기본이 무엇인지를 다시금 일깨워주고 있다. 목차 역자 서문- 의고를 위한 변명『고사변』제1책 자서1.『고사변』출간의 경과2. 서문 집필의 동기3. 어린 시절의 경전 교육4. 서당과 중학교 시절5. 연극에 대한 취미6. 금고문학 논쟁에 대한 관심7. 목록학 및 학술사 연구8. 북경대학 철학과 시절9. 가요 수집과 고사 연구10. 위서와 위사의 변증...나는 어떻게『고사변』을...

2300년 전 죽간서 ‘서경’의 전하지 않던 16편 나와, 2008 청화간

진시황 분서갱유 모면한 중국 최고 역사책 찾았다 [중앙일보] 입력 2009.04.27 03:00 / 수정 2009.04.27 08:43 2300년 전 죽간서 ‘서경’의 전하지 않던 16편 나와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서인 상서(尙書) 16편이 2300여년 만에 처음 발견됐다고 중국 주요 언론들이 26일 보도했다. 지금까지 58편만 전해져 온 상서는 송대(宋代)에 유가의 사서삼경(四書三經)의 하나인 서경(書經)으로 불릴 만큼 중요시돼 온 책이다. 이번에 발견된 상서는 전국(戰國)시대 중엽에 만들어진 것이다. 진시황의 분서갱유를 피해 보존된 사료로 평가받고 있다.칭화(淸華)대학 출토문헌연구 및 보호센터의 리쉐친(李學勤) 교수는 “지난해 입수한 2388건의 죽간(竹簡: 대나무로 만든 책자)에서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상서 16편을 새로 발견했다”며 “역사나 학술상의 공백을 메워줄 자료”라고 밝혔다.이 센터가 베이징대학에 연대 측정을 의뢰한 결과 “기원전 305년의...

신영복 고전강독 21 제5강 주역(周易)-1

신영복 고전강독 <21> 제5강 주역(周易)-1 신영복 성공회대 교수    필자의 다른 기사 기사입력 2001.10.29 10:04 이번 시간에는 ‘주역(周易)‘에 대하여 공부하기로 합니다. 앞으로 연재상으로는 여러 회 강의가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고전강독 강의 전체 분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적지 않다고 할 수 있습니다만 몇 번의 강의로는 주역을 읽을 수가 없습니다. 나도 무엇부터 강의해야 하나 매우 당황스럽기도 합니다. 주역을 60년 동안 계속 연구하고 있는 분도 있습니다. 64괘의 괘사만 읽으려 하더라도 1년으로는 부족합니다. 몇 회의 강의로 주역을 읽으려 한다는 것 자체가 무리일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나 우리의 강의는 여러분과 합의한 바와 같이 역시 ‘주역의 관계론’에 초점을 두게 됩니다. 주역은 동양적 사고의 가장 심층에 놓여 있는 기본적 사고양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생각의 저변을 이루고 있는...

신영복 고전강독 15-18: 제3강 서경(書經) 1-4 ‘무일사상(無逸思想)’

신영복 고전강독 <15> 제3강 서경(書經)-1 신영복 성공회대 교수    필자의 다른 기사 기사입력 2001.10.19 10:00:00 ‘시경(詩經)’에 이어서 ‘서경(書經)’의 한 편을 읽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서경은 이제(二帝. 堯,舜) 삼왕(三王. 禹왕,湯왕,文왕 또는 武왕)의 주고 받은 말을 기록한 책입니다. 물론 유가의 경전이 되기 전에는 그냥 서(書)라고 하거나 상서(尙書)라고 했습니다. 상(尙)은 상(上)의 의미로 읽어서 상고(上古)의 서(書)라는 뜻으로 읽기도 하고 또는 천자(天子) 즉 상(上)의 말씀을 사관(史官)이 기록한 것이라는 뜻으로 이해하기도 합니다. 중국에는 고대부터 사관에 좌우(左右) 이사(二史)가 있었는데 좌사(左史)는 왕의 언(言)을 기록하고 우사(右史)는 왕의 행(行)을 기록하였습니다. 이것이 각각 상서(尙書)와 춘추(春秋)가 되었다고 합니다. 천자의 언행을 기록하는...

음양오행의 유래에 대하여,서경의 오행과 곽점초간의 오행

음양오행의 유래에 대하여,서경의 오행과 곽점초간의 오행 동양과 서양의 사상과 철학 2013/09/29 18:28 음양오행의 유래에 대하여 서경의 오행과 곽점초간의 오행 ‘오행’ 이란 말은 <서경書經>‘감서甘誓’에 처음 나온다. ‘홍범구주’에도 “一五行 一曰水 二曰火 三曰木 四曰金 五曰 土‘ 라고 나온다. 오행은 <서경>에 첫 출전하므로 오행은 <서경>에서 유래한 것일까? <서경>은 상주商周의 사관史官이 기록한 것을 공자가 편찬했다고 한다. 지금 전해지는 판본은 한문제漢文帝 때의 <금문상서>와 동진東晉 때의 <위고문상서>가 보급되어 있다. <서경>의 판본보다 앞서는 BCE3세기경의 노자에 관한 출토 죽간으로 유명한 곽점초간郭店楚簡에도 ‘오행’에 관한 내용이 있다. 그런데...

김만일, 2007, 『조선 17-18세기 尙書 解釋의 새로운 경향』, 景仁文化社

김만일, 2007, 『조선 17-18세기 尙書 解釋의 새로운 경향』, 景仁文化社 고려사학회 http://koreahistory21.net/xe/579 2009.09.16 16:36:35 (*.152.66.133) 2274 제1장 서론 1. 문제의 제기 2. 연구사 검토 3. 연구의 방법과 범위 제2장 조선 후기 상서학의 경향 1. 상서학의 수용과 정착 2. 상서 인식의 심화와 언해본 발간 3. 조선 후기 상서학의 전개 제3장 윤휴의 주자적 방법론 수용과 고증학적 해석 1. 경전해석의 기본 시각 2.『독상서』의 체제 3.『서집전』에 대한 비판과 김인산의 영향 4. 윤휴의 상서해석의 특징 제4장 박세당의 『서집전대전』이해와 성리학적 해석의 비판 1. 經典解釋의 기본 시각 2.『상서사변록』의 체제 3. 채침에 대한 비판과 『서집전대전』의 수용 4. 훈고학적 주석의 채택과 성리학적 해석의 배제 제5장 이익의 『상서정의』 채용과 문헌고증적 접근 1. 경전해석에 대한 기본시각 2.『서경질서』의 체제와 상서 관련 저술 3.『서집전』에 대한 비판과 『상서정의』의 수용 4. 상서에 대한 문헌고증적 접근 5....

맹자의 4단설에 대한 주자의 주석 - 김기현

맹자의 4단설에 대한 주자의 주석 - 김기현 致知 2008/09/25 19:10 http://blog.naver.com/parencytrans/130035607212 전용뷰어 보기 김기현, <<조선조를 뒤흔든 논쟁>> 상, 길, 2000 p.106 주자의 맹자학 이해를 비판하는 유가들은, 우선 맹자는 측은지심·수오지심 ··· 등처럼 측은·수오·사양·시비를 심이라 말했지 정이라 말하지는 않았다는 사실을 지적한다... 주자는 맹자의 성선설을 자신의 유학사상의 근간으로 삼은 충실한 맹자학자이지만, 그의 맹자학 이해는 전적으로 자신의 철학사상에 의거하여 있다. 주자 자신의 심성론에서는 측은·수오·사양·시비는 정이지, 결코 심이 될 수 없다. 주자에서 심은 정과는 별개의 것이다. ... >더보기 >접기 '端'의 해석 문제 p.107 사단과 인의예지의...

유가에 '권리' 개념이 있었는가? - 이승환

유가에 '권리' 개념이 있었는가? - 이승환 致知 2008/10/14 19:47 http://blog.naver.com/parencytrans/130036239010 전용뷰어 보기 이승환, <유가에 '권리' 개념이 있었는가?>, <<동양철학과 현대: 유가사상의 사회철학적 재조명>>, 1996. 1. 문제제기 '권리'는 '법' 뿐 아니라 정치와 윤리에 있어서도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개념이다. 권리가 규범적 영역에서 이렇게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는 이유는, 다른 규범적 개념들(예를 들면, '공리적 효용'이나 '의무') 등과 달리, '권리'는 상대방에게 의무를 강제적으로 부과할 수 있는 '강제력'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엄격한 의미에서의 권리는 항상 그에 상응하는 의무를 전제 조건으로 성립한다... 상대방을 의무에 귀속시킬 수 있는 규범적 강제력 때문에...

<리기선후>, 진래, 이종란 외 옮김, 주희의 철학, 예문서원, 2002.

리기선후 / 주희의 철학 - 진래 致知 2008/07/13 09:59 http://blog.naver.com/parencytrans/130033219422 전용뷰어 보기 진래, 이종란 외 옮김, <리기선후>, <<주희의 철학>>, 예문서원, 2002. 리기선후 p. 28 19세에 진사가 되어 71세로 죽을 때까지, 주희는 리기선후를 포함하여 자신의 사상을 끊임없이 변화시키고 발전시켜 왔다... 주희가 리기 관계를 논할 때 종종 다른 문제, 다른 각도에서 출발하였다... 주희 학설의 이러한 객관적 정황을 고려해 볼 때, 주희의 사상을 제대로 연구하기 위해서는 시(역사적 변화)·공(다양한 단계와 다양한 각도)의 방법을 모두 동원하여 고찰하는 것이 필수적임을 알 수 있다. >더보기 >접기 1. <<태극해의>>에...